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43

제약 QC - [별표 1]통칙 생약 및 생약제제, 방사성의약품, 용기 및 포장 제약회사 품질관리에서 근무하거나 취준생이라면 알아두면 좋은 대한민국약전 해석 방법 중 [별표 1] 통칙의 3. 생약 및 생약제제, 4. 방사성의약품, 5. 용기 및 포장에 관해서 소개드릴게요. 이전 1. 일반사항과 2. 제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통칙 - 1. 일반사항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통칙 - 일반사항 이해하기 먼저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약전인 대한민국약전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드릴게요. 대한민국약전을 다운로드하면 첫 번째로 [별표 1] 통칙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일반사항, 제제, gmpkobi.tistory.com 통칙 - 2.제제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 통칙 - 제제 알아보기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 통칙 - 제.. 2023. 7. 20.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 통칙 - 제제 알아보기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 통칙 - 제제 알아보기 지난 번 통칙의 일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제에 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제제 관련 내용은 2.1~2.12 로 구성되어있어요. 2.1 제제의 함량규정, 예를 들면 [표시량의 95.0 ~ 105.0%]는 이것을 정량할 때 위의 범위내에 있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2.2 첨가제는 제제에 함유된 유효성분 이외의 물질로서 의약품의 유용성을 높이고 제제화를 용이하게 하며 제제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외관을 좋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부형제, 안정화제, 보존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용해보조제, 착색제, 점증제 등이 있다. 2.3 [식물유]는 의약품각조에 수재된 식물성 지방유 중 보통 식용으로 하.. 2023. 7. 19.
제약 QC - 대한민국약전[별표 1]통칙 - 일반사항 이해하기 먼저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약전인 대한민국약전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드릴게요. 대한민국약전을 다운로드하면 첫 번째로 [별표 1] 통칙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일반사항, 제제, 생약 및 생약제제, 방사성의약품, 용기 및 포장에 관한 용어, 개념 정리 차례대로 소개드릴게요. 이번 포스팅은 일반사항에 관한 내용입니다. 굵은 글씨로 표시한 내용은 제약회사 품질관리팀 신입사원, 취준생이 알아두면 좋은 용어 개념 정리입니다. 1. 일반사항 1.1 처음으로 '대한민국약전 제12개정'의 영명 'The Korean Pharmacopoeia Twelfth Edition', 약칭 '약전 12' 또는 'KP 12'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요. 1.2 의약품 : 의약품각조에 수재 되어 있는 것 중 의약외품을 제외한 것.. 2023. 7. 18.
약전 개정 날짜 확인, 약전 보는법 (대한민국약전) 약전 개정 날짜 확인, 약전 보는 법 (대한민국약전) 최신 기준으로 대한민국약전 개정 현황을 살펴보고 약전 보는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추후 미국약전(USP), 영국약전(BP), 유럽약전(EP), 일본약전(JP) 등 각 국의 약전 보는 방법, 개정일, 시행일 등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먼저 대한민국약전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 개정일, 시행일도 쉽게 확인 가능하답니다. 대한민국약전 확인방법 1.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접속 https://www.mfds.go.kr/ 국민 안심이 기준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www.mfds.go.kr 2. 메뉴 - 법령/자료 - 법령정보 - 고시훈령예규 - '대한민국약전' 검색 최신순으로 [대한민국약전] 고시번호 제2023-40호, 고시일 .. 2023. 7. 13.
제약회사 품질관리 직무 지원동기 선택이유 제약회사 품질관리를 선택한 이유, 지원동기에 대해 소개드릴게요. 첫 번째로는 적성, 두 번째는 연봉, 세 번째로는 커리어(이직)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 별로 없어 정보를 찾기 힘든데 취업준비생 분들이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길 바라며 적어봅니다. 제약회사 품질관리를 선택한 이유(지원동기)1. 적성제 전공은 화학공학과로 다양한 분야에 취업이 가능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학사 화공과 학생들이 어디로 취업하는지 찾아보다가 품질관리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품질관리 업무를 위해서는 꼼꼼함, 정직함, 분석 실험 역량, 정해진 업무를 절차에 맞게 수행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부분이 제 성향과 맞다고 생각해서 품질관리를 선택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정해진 업무를 절차에 맞게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았는데,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 2023. 7. 12.
제약 품질관리, 신입사원 필수 역량 5가지 품질관리 신입사원의 필수 역량으로는 가장 먼저 시험법에 대한 이해를 꼽을 수 있는데요. 입사 후 가장 먼저 접하는 업무가 원료 의약품이나 제품, 공정 중 샘플을 분석하는 일입니다. 그래서 분석하는 시험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에요. 다음으로는 표준작업절차서 숙지, 실수 시 보고, 배우려는 자세, 관련 지식 쌓는 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게요. 이전 포스팅에서 품질관리 직무와 하는 일, 문서작성법, SOP, GMP 등을 소개드렸는데요. 정확히 어떤 일 이 하는지 궁금하다면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고 와주세요. 제약 품질관리, 신입사원 필수 역량 5가지 1. 시험법에 대한 이해 제약 품질관리 신입사원이 가장 먼저 하는 업무는 제품/원료 의약품의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때 시험방법을 인수인계받아서 기기.. 2023. 7. 12.
GMP 뜻 GMP란 무엇인지 cGMP, kGMP 제약회사 취업 준비하며 GMP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는데 그게 뭔지 정확히 모르겠는 분들 많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이번에는 GMP 뜻, 정리, 각 나라별 규정, 규정 예시, 필요 이유, 적용범위까지 총정리해서 소개드릴게요. 1. GMP 뜻 GMP는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약어로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이에요. 2. GMP 정의 의약품제조업자가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를 위하여 준수해야 할 사항을 말해요. 제조 작업장의 설비를 비롯해 의약품 원료의 구매부터 완제품이 출하될 때까지 전 공정에 걸쳐 제조, 품질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을 규정한 것이에요. 쉽게 말해 소비자를 위한 우수 의약품을 만들기 위한 규정이라고 할 수 있.. 2023. 7. 12.
제약회사 품질관리 신입사원이 하는 일 제약회사 품질관리 신입사원(1~3년차)가 하는 일 취준생도 알아두면 좋을 제약회사 품질관리 1~3년차가 하는 일 알려드립니다. 품질관리 기본 문서 작성법, 검체 채취방법, 제약 회사(공장)에서 하는 시험 업무, 대한민국약전, 미국약전(USP) 등 대표 약전 해석, 시험일지 작성법, 기기사용 및 점검법 등에 대해 소개드릴게요. 취준생들이 회사에서 하게 될 업무에 대한 이해나 준비 없이 면접에 임하면 면접관이 원하는 인재랑은 거리가 멀어지겠죠. 당연히 준비는 많이 해왔지만 서로 원하는 것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어요. 이번 포스팅을 보면 채용공고의 직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직무가 본인과 맞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거에요. 1. 품질관리 기본 문서 작성법 품질관리에서 사용하는 문서에.. 2023. 7. 12.
제약 QC 취업 준비 방법 4가지, 취준생 필독 제약 QC 취업 준비 방법 4가지, 취준생 필독 이전 포스팅에서 제약 직무 관련 소개를 하고 QC가 하는 일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그럼!! 제약회사 품질관리팀에 입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 작성한 QC 취업 준비 팁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제약 QC 취업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 - 적절한 어학 성적 (토익 800점 기준, 높을수록 좋지만 최소 700점 이상, 토익스피킹 LV6(130점), 오픽 IM2) - 품질관리 관련 자격증 취득 (큰 가산점은 아니지만 이 분야에 관심 있음을 어필 가능) - 방학 또는 학기 중에 인턴경험하면 좋음. - 인턴 경험이 없다면 제약바이오 품질관리 국비지원 교육 추천 다들 이미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준비하기 어렵죠. 왜 위와 같이 생각하는지 하나씩 알.. 2023. 7. 11.
제약회사 이화학 QC 미생물 QC 차이점 (생화학 QC 소개까지) 제약회사 이화학 QC 미생물 QC 차이점 이전 포스팅에서 QC 직무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렸는데, 이번에는 QC 직무 중 이화학 QC와 미생물 QC의 차이점 및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추가적으로 간단하게 생화학 QC도 설명 예정이에요 1. 이화학QC 이화학 QC는 간단히 말해 생산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기 전에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을 시험하는 일인데요. 크게 자재 QC, 원료 QC, 제품 QC로 나눠집니다. 실험실에서 실험복 입고 실험하는 업무가 주된 업무예요. 자재 QC는 의약품의 포장자재인 상자 포장, PTP 포장, 포일, 병, 첨부문서 등을 검사하는 일을 해요. 원료 QC는 약을 만들 때 처음 필요 물질인 원료를 시험을 하는 업무를 진행해요. 제품 QC는 우리가 먹는 의약품의 반제품과 완제품.. 2023. 7. 11.
728x90
반응형